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34

베어링(Bearing)의 일상 점검시 점검항목, 점검내용, 점검방법, 판정기준과 베어링의 취급시 유의사항과 보관시 유의사항 베어링은 회전하는 기계 부품에서 발생하는 마찰력과 부하를 견디기 위해 설치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베어링은 일정한 기간 사용 후에 마모가 발생하므로, 일상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점검항목 및 내용 외부 상태: 부식, 탄성, 변형, 칩, 균열 등의 이상이 없는지 확인합니다. 회전: 회전에 어려움이 없는지, 부드럽게 회전하는지 확인합니다. 진동: 진동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소음: 비정상적인 소음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기타: 적정한 윤활유 사용 여부, 적정한 베어링 게이지 사용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점검방법 외부 상태: 눈으로 확인하거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회전: 손으로 회전해보거나,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진동: 진동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소음: 소음계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2023. 3. 14.
리모델링 공사 시행시 건축기계설비 분야의 리모델링 절차 및 효과 건축기계설비 리모델링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오래된 건물의 경우 온도 및 습도 조절, 환기, 공기질 개선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냉난방 시스템, 환기 시스템, 공기청정 시스템, 난방 시스템 등의 업그레이드가 있다. 또한, 대형 아파트 리모델링의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설치, 비상계단 설치, 소방설비 개선 등과 같은 안전성과 편의성 개선을 위한 시설 업그레이드도 필요하다. 건축기계설비 리모델링은 또한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난방 및 냉방 시스템의 업그레이드가 있다. 오래된 건물의 경우 난방 및 냉방 설비가 낙후되어 있어 에너지 낭비가 심한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최신 기술을 적용.. 2023. 3. 14.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는 국가가 지정한 대상 건물에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개요] 국내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오염 및 에너지비용 증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는 대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입니다. [정의]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는 국가가 지정한 대상 건물에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로, 건축물의 종류, 대상면적, 건축물의 높이,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용범위와 설치비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구성도]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대상 건물 선정: 국가가 지정한 대상 .. 2023. 3. 14.
냉각탑 소음의 원인과 방지대책 냉각탑 소음의 원인 냉각탑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첫 번째는 공기와 물이 충돌하는 소음이고, 두 번째는 선회하는 모터와 팬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입니다. 공기와 물이 충돌하는 소음은 일반적으로 공기와 물의 속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며, 냉각수의 온도와 냉각탑 내의 물의 움직임에 따라 강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선회하는 모터와 팬에 의한 소음은 냉각탑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는 모터와 팬이 설치된 위치, 크기 및 수량에 따라 다양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냉각탑 소음의 방지대책 냉각탑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냉각탑 설치 위치를 지정할 때는 인근 건물과 충분한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는 냉각탑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주변.. 2023. 3. 14.
건축기계설비의 효율적 관리와 경제적인 보수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실시하고 있는 진단방법과 평가방법 진단방법 건축기계설비의 진단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상태진단 : 설비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여 이상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온도, 압력, 유량 등의 변수를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한다. 기능성 평가 : 설비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기능성 점검표 등을 이용하여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한다. 에너지 진단 : 설비의 에너지 효율성을 진단하여 에너지 손실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방법으로,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갖는 설비를 운영하여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안전성 평가 : 설비의 안전성을 평가하여 안전한 운영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설비 안전 점검표 등을 이용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2023. 3. 14.
지열설비(수직밀폐형)의 시공순서 및 중점 관리사항 지열설비는 지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건물을 냉난방하거나 난방하는 시스템입니다. 수직밀폐형 지열시스템은 건축물 주변에 깊이가 다른 여러 개의 수직구멍을 뚫고, 지열층으로 통합한 후 지열교환기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치됩니다. 이때, 수직구멍 내부에는 특수한 케이싱이 삽입되어 지열구멍의 벽면을 밀폐합니다. 지열설비(수직밀폐형)의 시공순서 및 중점 관리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장조사 및 설계: 지열시스템의 설치 위치, 깊이, 수직구멍의 개수, 크기 등을 결정하는 설계단계입니다. 지열시스템 설계는 지열설계 전문가가 수행해야 합니다. 구멍뚫기: 건축물 주변에 수직구멍을 뚫는 단계입니다. 구멍 뚫기는 안전하게 수행되어야 하며, 구멍 내부에 케이싱을 삽입하여 밀폐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케이싱 설치: 구멍 내부에 삽입되는.. 2023.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