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기술사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

by 파더파더 2023. 3. 14.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는 국가가 지정한 대상 건물에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개요]

국내에서는 에너지 소비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환경오염 및 에너지비용 증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이용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부는 대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입니다.

[정의]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는 국가가 지정한 대상 건물에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로, 건축물의 종류, 대상면적, 건축물의 높이,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적용범위와 설치비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구성도]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대상 건물 선정: 국가가 지정한 대상 건물을 선정합니다.

설치 의무화: 대상 건물에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의무화합니다.

적정 설치 비율: 대상 건물의 사용목적, 면적, 높이 등을 고려하여 신재생에너지 설치의 적정 비율을 제시합니다.

지원 정책: 신재생에너지 설치를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합니다.

[관련 이론]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이용을 위한 정책의 하나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에너지 절약을 위해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 이용을 위한 UN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중 하나인 "Clean Energy for All"에 부합됩니다.

[특징]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제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상 건물의 범위와 설치 비율 등이 정해져 있어 의무적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건물의 환경오염과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설비 설치를 위해 추가적인 투자 비용이 필요하며, 설치된 설비가 적정 수준으로 가동되지 않을 경우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전력 수급이 불안정한 경우 전력을 보충하기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다른 유사한 제도로는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이용 촉진 법'이 있습니다. 이 법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 대기업, 공공기관 등에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를 부여하고,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으로 인한 신규 에너지 수요 창출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법은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에너지 설치 등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은 경우 벌칙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