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생활/기술사

[건축기계설비기술사] 서브노트 <결로>

by 파더파더 2019. 2. 19.

 

 


 결로의 발생원인과 종류에 대해 기술하고 방지대책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

1) 

 

 결로의 발생원인과 종류에 대해 기술하고 방지대책에 대해 설명

   

 

 하시오.

답) 

 

 

 

 

1. 

 

 개요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의 온도가 서서히 떨어지면서 수증기를 더이

 

 

 

 상 포함할 수 없게되어 물방울이 되는데 이런한 현상을 결로라

 

 

 

 하고 이때의 온도를 노점온도라 한다.

 

2. 

 

 결로의 원인

 

 

1) 

 온도차

 

 

2) 

 습기과다

 

 

3) 

 환기부족

 

 

4) 

 구조적 특징

 

 

5) 

 미건조

 

 

6) 

 시공 불량

 

3. 

 

 결로의 종류 및 방지대책

 

 

1) 

 표면결로

 

 

① 

 원인

 

 

ㄱ. 

 구조체의 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노점온도 이하일 경우
 

 

ㄴ. 

 공기의 절대습도가 높을경우
 

 

ㄷ. 

 실내 수증기 분압이 높을경우
 

 

② 

 발생하기 쉬운장소
 

 

ㄱ. 

 난방시 단열이 잘되지 않는 외벽이나 이곳에 이웃한 내벽, 최하층

 

 

 

 

 의 바닥, 외벽의 유리창

 

 

ㄴ. 

 공기가 정체하기 쉬운 외벽, 바닥의 모서리 부분

 

 

ㄷ. 

 최상층 옥상 슬래브

 

 

③ 

 방지 대책

 

 

ㄱ. 

 절대습도를 낮게한다.

 

 

ㄴ. 

 단열을 강화한다.

 

 

ㄷ. 

 환기를 철저히 한다.

 

 

ㄹ. 

 수증기 발생을 억제한다.

 

 

ㅁ. 

 실내 설계온도를 높인다.

 

 

ㅂ. 

 시공시 틈새의 기밀을 유지한다.

 

 

ㅅ. 

 유리창은 이중유리로 하고 공기층은 밀폐한다.

 

 

2) 

 내부 결로

 

 

① 

 원인

 

 

ㄱ. 

 벽체 내부의 어느 지점에서의 수증기 분압(Pw)이 그 온도에 해당하

 

 

 

 는 포화수증기 분압(Ps)보다 높을때

 

 

ㄴ. 

 실내 수증기 발생이 많을때, 수증기 제거가 부족할때 등 벽체의

 

 

 

 수증기 분압이 높을때

 

 

② 

 발생하기 쉬운장소

 

 

ㄱ. 

 난방시 단열이 잘된 벽체의 실내측에서 표면결로는 생기지 않으나

 

 

 

 외측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내부결로가

 

 

 

 발생하기 쉽다.

 

 

ㄴ. 

 단열재 저온측

 

 

 

 

③ 

 방지 대책

 

 

 ㄱ. 

 방습층을 수증기 분압이 높은쪽에 설치한다.

 

 

 ㄴ. 

 실온을 높인다.

 

 

ㄷ. 

 외측 단열

 

 

ㄹ. 

 환기 철저

 

 

ㅁ. 

 수증기 발생 억제

 

4. 

 

 결론

 

 

 

 결로는 벽표면의 얼룩이나 파손, 곰팡이의 발생 및 손실부하를 증가

 

 

 

 시키고, 구조적인 피해를 발생시키므로 적절한 단열재를 사용하여

 

 

 

 결로를 철저하게 방지하여야 한다.

 

 

 

 

 

 

 

 

 

 

※ 

 결로는 대기중의 수증기가 포화상태에 이르러 응축되는 현상으로

 

 

 

 결로가 생기면 비흡수성 재료는 표면에 물방울이 생기고 흡수성

 

 

 

 재료는 습기가 차서 곰팡이류, 각종 균의 번식으로 인한 손상 및

 

 

 

 불쾌한 냄새가 나고 변형에 의해 건물재료와 구조체에 영향을

 

 

 

 미친다.